본문 바로가기

반응형

개미

(2)
액면분할(주식분할) 이란? 안녕하세요 개냥이입니다. 오늘은 주식을 한다면 무조건 알아야 되는 액면 분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액면분할 이란? '기존 주식의 액면가격을 일정 비율로 분할하여 발행주식의 총 수를 늘리는 것'입니다. 이렇게 말하니까 좀 어렵죠? 예를 들어 액면가격이 1000원인 주식이 시장에서 30000원에 거래되고 있는 경우 액면 가격을 500원으로 조정하면 시장 가격이 15000원으로 조정됩니다. 우리나라 국민 주식이 삼성전자도 원래는 시장가격이 200만 원이 넘었었답니다. 액면분할을 왜 할까? 액면 분할에 하는 이유는 주당 거래 가격이 너무 높아 진입장벽이 높은 주식에 대한 유동성을 확대하기 위함입니다.(거래를 촉진시키기도 합니다) 예를 들어 액면가가 5000 원인 주식이 시장에서 100만 원에 거래되고 있는 ..
[주식용어]PBR이란? PBR(주가순자산비율)이란? 주가를 1주당 자산가치로 나누었을 때 몇 배나 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, 기업의 청산가치(장부상의 가치)와 시장가치를 비교하는 방법으로 쓰인다. 청산가치란? => 자산총액-부채총액 더보기 주가순자산비율(PBR) = 주가 ÷ 1주당 자산 PBR은 기업의 재무내용과 비교해서 주가를 판단하는 척도다. 즉, PBR은 재무내용에 비해 주가가 어느 정도 수준에 있는지를 표시한다. 따라서! -PBR이 높다? → 재무내용에 비해 주가가 높다는 것 -PBR이 낮다? → 재무상태에 비해 주가가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 그럼 높다 낮다의 기준은??? PBR이 1이면 주가와 기업의 청산가치와 같다. 1 이하 - 주가 < 청산가치 따라서 PBR이 낮을수록 주가가 저평가

반응형